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지역화폐와 제로페이의 차이점, 소비자도 좋고 소상공인도 좋아요!

by 날씨안녕 2025. 6. 13.
728x90

지난 대선 때 이재명 후보가 지역을 방문할 때마다 지역화폐를 사용하면서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지역화폐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지역화폐와 제로페이가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역화폐와 제로페이의 정의와 목적

지역화폐와 제로페이가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역화폐

- 정의: 특정 지역(지자체)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발행 상품권

- 목적: 지역 내 소비 진작 및 소상공인 보호, 자금 역외 유출 방지

 

✔️제로페이

- 정의: 중소상공인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만든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 목적: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 완화, 간편한 QR 결제 확산

 

2. 운영 주체

- 지역화폐: 각 지방자치단체

- 제로페이: 중앙정부 (중소벤처기업부, 민간 결제회사)

 

3. 사용방식

✔️지역화폐

  • 종류: 카드형, 지류형(종이), 모바일형 등.
  • 결제: 지역화폐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
  • 충전: 선불 충전, 일정 금액 할인 또는 인센티브 제공 (예: 10% 할인 충전).

✔️제로페이

  • 결제 방식: QR코드 스캔 후 모바일 앱으로 바로 결제.
  • 연결 계좌: 사용자 은행 계좌에서 실시간 계좌이체 방식.
  • 할인: 직접적인 할인은 없지만,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이 높음(30~40%)

 

4. 혜택

구분 소비자 혜택 소상공인 혜택
지역화폐 구매 시 할인율 제공 카드 수수료보다 낮은 수수료
제로페이 소득공제 혜택 수수료 0%~0.5% 수준

 

5. 사용처 제한

  • 지역화폐: 발행 지역 내 등록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
  • 제로페이: 전국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예시로 이해하기

항목 예시
지역화폐 성남시에서 발행한 성남사랑상품권으로 성남시의 전통시장, 음식점에서만 사용 가능
제로페이 서울이든 부산이든 제로페이 QR이 있는 곳에서 모바일로 결제 가능

 

6. 제로페이기반 지역화폐

간혹 제로페이인지 지역화폐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로페이 기반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드리면, 제로페이 기반이라는 말은 '지역화폐(예: 서울사랑상품권)'가 제로페이의 기술과 결제 인프라 (QR코드, 앱, 실시간 계좌이체 등)를 활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지역화폐=제로페이 시스템을 활용하는 상품권일 수는 있지만 제로페이 그 자체는 아닙니다. 대표적인 지역 예시를 알려드릴게요. 

🔸대표적인 지역들

지역 지역화폐명칭
서울특별시 서울사랑상품권
부산광역시 부산e바구페이
경기도 수원 수원페이
경기도 성남 성남사랑상품권
인천광역시 인천e음 (※ 일부 제로페이와 병행)
경상남도 김해 김해사랑상품권
경상북도 구미 구미사랑상품권
전라북도 전주 전주사랑상품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상품권
이 외에도 전국 대부분의 시·군·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름은 보통 ○○사랑상품권, ○○페이, ○○e페이 형태로 구성돼 있어요. 이들 지역화폐는 모두 제로페이의 QR코드 결제 인프라를 활용하며, 제로페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마무리

지역화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지역 한정 상품권이며 제로페이는 전국 단위에서 QR 기반 간편결제를 통한 수수료 절감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관련글 보기

민생회복지원금,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기초 정보 알아보기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지자체들은 청년들을 돕기 위한 지원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 지역에 사는 청년이라면 지원금을 놓치지 마세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청년기본소득! 만 24

lionanddeer.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