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26주 적금에 가입해 만기달성했습니다!! 저는 26주 적금을 좋아하고 자주 참여하는 편이에요. 일정액을 정하고 매주 그 액수만큼 증액하는 방식이 재미있어요. 그리고 26주 넣다 보면 생각보다 액수도 커져요. 소액으로 목돈을 마련하는 쉬운 방법으로 딱이에요.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체험기 소개합니다~
지난 포스팅 참고: 카카오뱅크 26주적금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이란
카카오뱅크 26주적금은 26주 동안 매주 자동으로 저축 금액이 증가하는 자유적립식 적금 상품입니다. 처음 시작할 때 설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매주 조금씩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게 됩니다.
- 저축 방식
- 가입할 때 기본 납입액(예: 1,000원, 2,000원 등)을 선택하면, 이후 매주 그 금액만큼 증가하며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 예를 들어 1,000원으로 시작하면:
- 1주차: 1,000원
- 2주차: 2,000원
- 3주차: 3,000원
- …
- 26주차: 26,000원
- 총 적립 금액: 351,000원
- 이자율(금리)
- 기본 금리: 시작만 해도 연 2.50% / 최고 5.50% (26주 모두 성공시)
- 중도 해지 가능?
- 중도 해지할 수 있지만, 약정된 금리를 받지 못하고 중도 해지 이율이 적용됩니다.
- 2회에 걸쳐 긴급출금가능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으로 얼마나 모을 수 있나
26주 적금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 예시 (26주 모두 성공 시 예상이자로 가정할 경우)
시작금액 | 26주 후 총 적립금 | 예상이자 (연5.50%) |
1,000원 | 351,000원 | 약 3,094원 |
2,000원 | 702,000원 | 약 6,188원 |
3,000원 | 1,053,000원 | 약 9,281원 |
5,000원 | 1,755,000원 | 약 15,469원 |
10,000원 | 3,510,000원 | 약 30,938원 |
▷2천 원으로 시작해 만기 달성했어요
저는 2천원으로 시작했어요. 그리고 1월 29일에 만기달성했습니다. 제 계좌를 보여드릴게요. 26주에 성공해서 5.50%의 금리를 적용받았고요. 세금을 1,010원 납부했어요. 그래서 제가 받은 총금액은 총 적립금 702,000원에 이자를 더하고 세금을 빼서 708,117원입니다.
2,000원으로 시작해 4,000원 6,000원 8,000원으로 늘려가다가 마지막 26주 차에는 52,000원을 납부했어요. 마지막에는 조금 부담스러운 금액이 되기도 합니다. 근데 처음엔 2천 원으로 시작하니 액수가 조금 커지는 것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더라고요. 26주 적금의 장점인것 같습니다.
하여간 덕분에 70여만원이 생겼어요. 이 돈은 딸과 여행을 갈때 쓸 예정입니다. 재미있는 체험도 하고 목돈도 생겨서 기분이 좋습니다.
▷카카오뱅크 26주적금의 장점_소액저축습관 들이기
- 소액으로 시작 가능: 부담 없이 적은 금액으로 저축 습관을 들일 수 있음
- 자동 증액 시스템: 매주 금액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저축 증가
- 앱에서 편리하게 관리: 카카오뱅크 앱에서 손쉽게 진행 가능
반면에 주의할 점은 중도해지 시 이자가 거의 없을 수 있다는 점, 처음에 높은 금액을 설정하면 나중에 금액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점 등입니다.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저축 습관을 들이고, 목돈을 만들 때 한 번에 큰돈을 넣기에 어려운 분들에게는 좋은 상품입니다. 또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들을 선택해서 진행하니 그 재미도 있습니다.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좋은 저축 습관을 들이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이번에 한번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알뜰한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카카오뱅크 홈페이지
https://www.kakaobank.com/https://www.kakaobank.com/
'알아두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주 돌봄 수당 지원 대상 확대_경상남도 2025년 (1) | 2025.02.01 |
---|---|
손주돌봄수당 지원 대상 확대 (3) | 2025.02.01 |
설특선 영화 2025, 설 연휴 TV 특선 영화 (3) | 2025.01.27 |
당번약국 찾는 법! 2025년 설날 연휴 응급상황 대처하기 (1) | 2025.01.27 |
설날 차례상 지방 쓰는 법 (1) | 2025.01.26 |